베스트셀러 작가인 Walter Isaacson은 Benjamin Franklin: An American Life에서 다음과 같이 서술했다.
벤자민 프랭클린은 그의 시대에 가장 성공한 미국인 중 한명이었고, 미국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가장 큰 영향을 끼쳤다.
프랭클린의 글은 더 나은 삶과 글쓰기에 대한 통찰력으로 가득하다.
프랭클린은 16명의 형제자매가 있는 가난한 집안에서 태어났다. 그리고 10살 때 학교를 그만두었는데, 어떻게 초등학교도 나오지 못한 가난한 아이가 미국 역사에서 가장 위대한 인물이 될 수 있었을까?
글쓰기에 대해 공부하던 중에 프랭클린의 전기를 읽게 되었는데, 벤자민 프랭클린은 타고난 천재는 아니었다.
프랭클린은 20대 후반에, 펜실베니아 공보물과 유명한 소설 [가난한 리차드의 달력]으로 많은 돈을 벌었다. 그런데 10대 까지만 해도 프랭클린은 그리 글을 잘 쓰지는 못했다. 글쓰기를 공부하려해도 프랭클린은 선생님도, 돈도 없었기에, 혼자서 배울 수밖에 없었다.
자서전에서 어떻게 혼자서 배웠는지 나온다.
오늘날 대부분의 조언은 별 쓸모가 없는 말들만 한다. 인터넷에 조언이랍시고 올라온 글에는 단순히 “더 많이 읽어라” 혹은 “계속 시도하라”와 같은 별 도움이 되지 않는 것들뿐이다.
반면 거의 200년 전의 벤자민 프랭클린의 조언은 매우 실용적이다. 프랭클린은 매우 구체적이고 오늘날에도 실천 가능한 글쓰기 방법을 적어놓았다.
이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자.
1. 분석과 재구성
16살에 프랭클린은 본인이 글을 잘 못쓴다는 것을 인정하였다. 비록 스펠링과 문법에는 자신이 있었지만
“표현의 명확성이나 대상을 표현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매우 미숙하다고 느꼈다.”
글쓰기 능력을 향상시키고자 마음먹은 그는 가장 좋아하는 잡지였던 the Spectator를 집어 들었다.
“잡지를 보면서 각 문단마다 어떤 얘기를 하고 있는지 짧은 요약을 적어놓았다. 그리고 며칠 후 원본을 보지 않으면서 이 요약만 보고 다시 글을 재구성하였다. 요약된 글을 풀어쓰고, 원본의 표현을 그대로 다시 재현하려고 노력하였다. 어떤 단어가 그 자리에 들어가야 할까 많은 고민을 하였다. 그리고 내가 재구성한 글을 원본과 비교하면서 잘못된 부분을 찾고 이를 고쳐나갔다.”
정리하자면
1. 좋은 글을 읽고, 각 문장을 요약하라
2. 시간이 지난 후에
3. 요약본을 보고 원 글을 다시 재구성하라
4. 원본과 비교하고 잘못된 부분을 교정하라
2. 글을 시로 다시 써보자
그 다음 프랭클린은 어휘구사력을 연습하였다.
아마 다른 분야의 대가들도 비슷한 연습을 할 것이다. 프랭클린은 배움을 가속화하기 위해서 인위적인 제약을 두었다. 그리고 프랭클린은 시를 쓰는 것이 매우 좋은 글쓰기 연습이 될 것이라 생각했다.
“시를 쓰기 위해서는 많은 단어들을 기억하고, 언제든지 떠올리고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을 깨달았다. 운율을 맞추기 위해 같거나 다른 음을 가진 단어들을 사용하거나 혹은 의미는 같지만 다른 발음을 가진 단어 등을 계속해서 나열해야 했다. 이를 통해 표현의 다양성에 대한 필요성을 느낄 수 있었고, 이 다양성을 내 것으로 만들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했다.”
프랭클린은 단순히 이런 생각을 떠올리는 것에 그치지 않고, 실현 가능한 연습 계획을 만들었다.
“그러므로 나는 이야기를 시로 바꾸는 연습을 했다. 시간이 지난 후 시를 보면서 이를 다시 산문체로 바꾸는 연습을 했다.”
요약하면
1. 글을 시로 바꾸기
2. 시를 다시 산문체로 바꾸기
3. 글의 구조 이해하기
위와 같은 방법을 통해 문장 작성과 단어 선택에 능숙해진 프랭클린은 글의 전체적인 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연습을 하였다.
“요약본을 보고 원 글을 재구성하기 전에, 요약본의 순서들을 마구 뒤엉키게 해놓고 몇 주후에 다시 이를 정렬하려 노력했다. 이 방법을 통하여 생각을 어떻게 정리하고 배치해야 하는지 배울 수 있었다.”
다시 정리하면
1. #1번 문장 재구성하기 전에, 요약본의 순서를 뒤섞어 놓는다.
2. 몇주 지난 후
3. 요약본의 손서를 정렬하여 완성된 글을 만든다
4. 원본과 비교한다.
이 연습을 통해 (1)문장 구조에 대해 이해할 수 있고, (2) 문장 구조를 어떻게 형성하는지 연습할 수 있다고 한다.
'# 생 각 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팩트가 우리의 생각을 바꾸지 못하는 이유 (0) | 2017.03.01 |
---|---|
친환경 에너지의 역설 (0) | 2017.02.25 |
현금없는 사회가 다가온다 (0) | 2017.02.20 |
비트토렌트의 이상한 몰락 (1) | 2017.02.20 |
원조의 역설: 개발도상국이 선진국에 원조를 한다? (0) | 2017.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