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증편향: 기존의 주장을 반대하는 증거를 찾아야 하는 이유 인간이란 새로운 정보를 입에 맞는대로 해석하는 것에 능통한 존재이다. 그들의 의견은 절대 바뀌지 않는다. -워렌 버핏 확증편향은 본인이 이미 가지고 있는 입장이나 생각을 강화하는 정보만을 선택적으로 취사 선택하여 받아들이는 인간의 경향이다. 어떠한 문제에 대해 서로 반대되는 입장을 가진 두 사람이 같은 증거를 보더라도 이들은 이를 서로 자신의 입장을 강화하는 증거로 받아들이게 된다. 이데올로기적, 감정적으로 깊은 연관이 되어있는 문제에 대해서 확증편향은 빈번하게 일어난다. 편향되지 않은 방식으로 정보를 받아들이는데 성공하지 못한다면 이는 심각한 오판을 초래할 수 있다. 확증편향이 인간의 사고에서 빈번하게 일어난다는 점을 이해한다면, 어떠한 정보를 접했을 때, 비록 그 정보가 우리의 입장을 뒷받침하는 것처.. # 생 각 들 8년 전
팩트가 우리의 생각을 바꾸지 못하는 이유 1975년 스탠포드 대학의 연구진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자살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진은 대학생들에게 자살자의 한 쌍으로 이루어진 유서들을 보여주었다. 이 한 쌍의 유서에서 하나는 진짜 자살자의 유서였고 다른 하나는 무작위로 선정된 사람이 쓴 가짜 유서였다. 연구진은 대학생들에게 이 중 진짜 유서가 어떤 것인지 구별해보라고 하였다. 어떤 학생들은 이 구별을 매우 잘 해냈다. 25번의 시도에서 24번이나 진짜 유서를 구별해낸 것이다. 반면 다른 학생들은 겨우 10개중에 하나만 구별해냈다. 심리학 연구에서 종종 그러하듯이 이러한 상황은 조작된 것이었다. 물론 유서의 절반은 LA 의 검시관에게서 제공받은 진짜 유서였지만, 학생들이 유서를 구분해낸 점수는 가짜였다. 높은 점수를 받은 학생이나 낮은 점수를.. # 생 각 들 8년 전
수지 화보 논란 - 확증편향과 잘못된 믿음 별로 사이가 좋지않은 지인에게 연락할 일이 생겼다고 가정해보자. 그런데 전화도 받지 않고 메세지도 확인안한다. 이런 상황에서 십중팔구는 지인이 당신을 피한다고 직관적으로 결론을 내릴 것이다. 문제는 이런 생각이 사실인지 아닌지 확인도 제대로 안하고 믿게 된다는 것이다. 확증편향은 믿음에 대한 바램으로 인해 발생하게 된다. 사람들은 어떤 생각이나 개념이 사실이라고 믿고 싶은 경우, 그냥 사실로 믿게된다. 이런 경향은 희망에 의해 동기가 부여되는데, 확증편향은 지금까지 수집 된 증거가 사실로 믿고 싶은 견해(편견)에 부합할 때 더 이상의 증거 수집을 중단하도록 유도한다. 일단 특정한 특정한 의견을 가지게 된 경우, 그 의견에 반하는 정보를 무시하거나 거부하면서 그 의견에 부합하는 정보를 더 편안하게 받아들이.. # 감 상 문/#2 기타 8년 전